- 문제
얀에서는 매년 달리기 경주가 열립니다. 해설진들은 선수들이 자기 바로 앞의 선수를 추월할 때 추월한 선수의 이름을 부릅니다. 예를 들어 1등부터 3등까지 "mumu", "soe", "poe" 선수들이 순서대로 달리고 있을 때, 해설진이 "soe"선수를 불렀다면 2등인 "soe" 선수가 1등인 "mumu" 선수를 추월했다는 것입니다. 즉 "soe" 선수가 1등, "mumu" 선수가 2등으로 바뀝니다.
선수들의 이름이 1등부터 현재 등수 순서대로 담긴 문자열 배열 players와 해설진이 부른 이름을 담은 문자열 배열 calling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경주가 끝났을 때 선수들의 이름을 1등부터 등수 순서대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입출력 예
players callings result
["mumu", "soe", "poe", "kai", "mine"] ["kai", "kai", "mine", "mine"] ["mumu", "kai", "mine", "soe", "poe"]
- 답안
def solution(players, callings):
answer = []
pl_dict = {value: idx for idx, value in enumerate(players)}
for call in callings:
ord_now = pl_dict[call]
ord_fast = ord_now - 1
players[ord_now] = players[ord_fast]
players[ord_fast] = call
pl_dict[call] -= 1
pl_dict[players[ord_now]] += 1
answer = players
return answer
- 이 문제 키워드
- 해시로 해결하는 문제였음. 그러나, dict 는 key -> value 기능이 있지만 value -> key 조회 기능은 따로없음
- key -> value 조회를 위해 dict를 설정하고, value -> key로 값 조회, 수정 할 때는 list에 작업
- dict 에서 순위(value) 값에 변화를 주고, list에서 이 순위(index)를 조회해 변화를 주는 방향을 활용하자
'Programming > 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] <햄버거 만들기> 99클럽 스터디-6 + stack 과 pop, list indexing (0) | 2024.04.01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] <숫자 문자열과 영단어> 99클럽 스터디-5 + 문자열, dict (0) | 2024.03.30 |
[프로그래머스] <최대값과 최소값> 99클럽 스터디-4 + 문자열, map 다루기 (0) | 2024.03.29 |
[프로그래머스] <멀리 뛰기> 99클럽 스터디-3 + DP 개념 이용하기 (0) | 2024.03.28 |
[프로그래머스] <성격 유형 검사하기> 99클럽 스터디-1 + dict.items() 활용하기 (1) | 2024.03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