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문제
정수로 이루어진 배열 numbers가 있습니다. 배열 의 각 원소들에 대해 자신보다 뒤에 있는 숫자 중에서 자신보다 크면서 가장 가까이 있는 수를 뒷 큰수라고 합니다.
정수 배열 number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모든 원소에 대한 뒷 큰수들을 차례로 담은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단, 뒷 큰수가 존재하지 않는 원소는 -1을 담습니다.
- 답안
def solution(numbers):
stack = []
answer = [-1] * len(numbers)
for i in range(len(numbers)):
while stack and numbers[stack[-1]] < numbers[i]:
answer[stack.pop()] = numbers[i]
stack.append(i)
return answer
- 이 문제의 키워드
- stack에 길이 만큼 -1을 넣어놓고, default로 뒤 큰 수가 없다고 가정하고 시작한다.
- 뒤 순서의 수와 현재 수를 비교하여 큰 수 일 경우 stack.pop()을 하고, 현재 index를 넣어준다.
- stack에 꼭 값만 들어갈 필요는 없다. 인덱스를 넣거나 빼내어 비교하고 싶을 때 index를 가지고 stack 구성 가능
'Programming > 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] <JadenCase 문자열 만들기> 99클럽 스터디-17 + lower(), upper() (0) | 2024.04.14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] <모음사전> 99클럽 스터디-16 + product 중복순열 (0) | 2024.04.13 |
[프로그래머스] <기능개발> 99클럽 스터디-14 + 작업량 (0) | 2024.04.11 |
[프로그래머스] <이진변환 반복하기> 99클럽 스터디-13 + bin(), while (0) | 2024.04.10 |
[프로그래머스] <괄호 회전하기> 99클럽 스터디-12 + 문자열인덱싱, 지우기 (0) | 2024.04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