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문제
문자열 s에는 공백으로 구분된 숫자들이 저장되어 있습니다. str에 나타나는 숫자 중 최소값과 최대값을 찾아 이를 "(최소값) (최대값)"형태의 문자열을 반환하는 함수, solution을 완성하세요.
예를들어 s가 "1 2 3 4"라면 "1 4"를 리턴하고, "-1 -2 -3 -4"라면 "-4 -1"을 리턴하면 됩니다.
s | return |
"1 2 3 4" | "1 4" |
"-1 -2 -3 -4" | "-4 -1" |
"-1 -1" | "-1 -1" |
- 답안
def solution(s):
answer = ''
nums = s.split(' ')
num_list = list(map(int, nums))
min_num = min(num_list)
max_num = max(num_list)
answer = f'{min_num} {max_num}'
return answer
- 이 문제의 키워드
- 문자열을 여러 요소로 나눈다던가, 공백을 제거해주는 과정이 필요할 때, s.split(' ') 이용하기
- int(a), int(b) 여러번 쓸 필요없이 map(int, list) 로 한번에 처리해주자
- map은 <map ~~> 객체로 저장되므로 list() 해주자
- 쉽지만 문자열을 다루는 법과 map의 사용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문제
'Programming > 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] <햄버거 만들기> 99클럽 스터디-6 + stack 과 pop, list indexing (0) | 2024.04.01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] <숫자 문자열과 영단어> 99클럽 스터디-5 + 문자열, dict (0) | 2024.03.30 |
[프로그래머스] <멀리 뛰기> 99클럽 스터디-3 + DP 개념 이용하기 (0) | 2024.03.28 |
[프로그래머스] <달리기 경주> 99클럽 스터디-2 + dict와 list 섞어쓰기 (0) | 2024.03.27 |
[프로그래머스] <성격 유형 검사하기> 99클럽 스터디-1 + dict.items() 활용하기 (1) | 2024.03.25 |